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8

아이비 수경 재배 번식 하기 아이비는 화분이나 수경 두 가지 방법 다 키우기 좋은 것 같습니다. 3년 전에 구매하여 가지치기와 번식을 반복하며 잘 키우고 있습니다. 구석에서 신경을 못 쓰고 키워 웃자라버렸어요. 오늘은 가지치기를 하여 번식을 해보려고 합니다. 수경재배란?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에서만 기르는 방법으로 물재배, 물 가꾸기라고도 부릅니다. 뿌리가 보여 잘 크고 있는지 관찰하기 좋고 식물 물 주기를 어려워하시는 분들에게 수경재배를 추천합니다. 집에서 수경으로 키우고 있는 식물들은 스킨답서스, 싱고니움, 아레카야자, 페페로미아, 아이비, 몬스테라입니다. 히아신스, 수선화 같은 구근식물과 채소류도 수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식물을 번식시킬 때 수경재배를 이용하는 편입니다. 뿌리를 내려 심게 되면 안전하게 번식시킬 수 있습니다... 2022. 11. 19.
실내 가드닝 분갈이 흙 종류 상토 배양토 혼합토 실내 가드닝을 할 때 사용하는 흙은 자연의 흙이 아닌 인공적으로 배합하여 만든 흙입니다. 원예용 흙의 종류에는 배양토, 혼합토, 원예용 상토 등이 있습니다. 분갈이할 때는 소독된 흙을 사용해야 합니다. 자연의 흙에는 균, 벌레 등이 성장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분갈이 흙 비율 시중에 판매하는 분갈이용 흙(배양토, 혼합토)의 배합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회사마다의 이름이 다른 것입니다. 상토는 어린 모종이나 씨앗 발아에 사용합니다. 뿌리가 잘 뻗어나가야 되기 때문에 흙이 가볍고 양분은 조금 첨가되어 있습니다. 이물질이 없는 깨끗한 흙으로 여러 가지 비료도 포함이 되어있습니다. 분갈이 흙만 사용한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수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분갈이 시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마사토.. 2022. 11. 17.
여름과 겨울 식물 관리 방법 식물 키우기 온도와 습도 사계절이 뚜렷한 대한민국의 기후조건은 온도와 습도의 변화가 큽니다. 실내 식물은 대부분 온도와 습도가 높은 동남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같은 열대 아열대 지방의 식물들입니다. 같은 집 안이라도 장소마다 빛의 양과 온도, 습도가 다르기 때문에 공간별로 온습도계를 두고 체크할 것을 추천합니다. 실내 식물의 습도 식물을 키우면 증산작용으로 습도가 조절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식물의 양으로는 많이 부족합니다. 식물로 방을 가득 채운다면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특히 겨울철의 난방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상적인 습도는 60~80%가 좋습니다. 실내에서는 50% 이상만 유지해도 괜찮습니다. 겨울철 보일러 난방을 할 경우에는 습도가 10~20%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식물의 잎 상태가 .. 2022. 11. 16.
식물 잎 마름 처짐 떨어지는 현상 식물의 특성과 원산지가 다른 만큼 키우는 환경도 달라야 합니다. 조건이 맞지 않으면 신호를 보냅니다. 잎 끝이 마르거나 처지는 현상, 잎이 노랗게 변하는 현상 다양한 변화를 알아차리고 관리해야 합니다. 잎이 처진다 평소보다 잎이 아래로 처진다면 대부분 물 문제입니다. 과습이거나 물이 부족한 경우입니다. 겨울철 추위에 노출되어 처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수분이 빠져 잎이 얇아지고 늘어집니다. 물을 듬뿍 주면 다시 싱싱한 보습으로 돌아옵니다. 과습 때문에 노랗게 변하는 경우 잎이 무겁게 축 늘어집니다. 물 주기를 중단하고 환기가 잘 되고 햇빛이 있는 장소로 옮겨주세요. 흙이 빨리 말라야 합니다. 혹시 화분 위의 멀칭한 돌들이 있다면 돌을 빼주세요. 멀칭한 돌이 있으면 흙의 통풍에 방해가 .. 2022. 11. 15.
란타나 키우기 물 주기 삽목 겨울 꽃 관리 란타나의 원산지는 열대 아메리카입니다. 개화기는 늦봄부터 가을까지 꽃을 피우고 지고합니다. 일곱 가지 색으로 변하는 꽃이라 '칠 변화 꽃'이라고도 합니다. 레몬색에서 주황색으로 다시 분홍색으로 변했다가 연한 핑크로 바뀌어 시들어요. 원산지에서는 잡초처럼 흔한 꽃이라고 합니다. 독성이 있는 식물이라 조심하여 키웁니다. 병해충은 온실가루이나 잎에 곰팡이 병이 흔히 생깁니다. 해충이 생긴 잎은 제거하거나 심하면 해충약을 사용해야 합니다. 생육온도 15~27도의 온도에서 잘 자라며 최저 온도는 5도 이상입니다. 추운 곳에서는 잎이 떨어지거나 휴면했다가 따뜻한 봄에 다시 잎이 올라옵니다. 줄기가 목질화가 되어 어느 정도 크기가 있는 식물이라면 낮은 온도에서 겨울을 날 수 있습니다. 15도의 실내환경이라면 겨울에도.. 2022. 11. 15.
푸미라 키우기 잎 마름 물 주기 삽목 덩굴성 고무나무 종류의 푸미라입니다. 높은 습도를 좋아하며 한국, 중국 남부, 일본이 원산지입니다. 늘어지는 긴 줄기에 하얀색 무늬가 그려져 싱그러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덩굴성 식물이라 행잉, 지지대를 이용해 리스 모양으로 감아 주어도 멋스러워요. 푸미라 키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푸미라 고무나무 키우기 1. 푸미라 온도와 습도 10~25도에서 자라며 겨울철에는 따뜻한 곳에서 관리해야 합니다. 찬바람이 드는 5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잎이 상할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15도 이상의 온도에서 관리하면 푸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을 좋아합니다. 물 주기와 상관없이 분무를 해준다면 싱싱한 푸밀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햇빛 햇빛이 강하지 않은 장소에 키워주세요. 밝은 음지 반그늘을.. 2022. 11. 14.
꽃기린 키우기 삽목 번식 과습 꽃기린(Crown of thorns) 키우기 유포르비아 속 다육식물, 원산지는 열대 마다가스카르의 열대지역입니다. 줄기에 가시가 있는 종류와 없는 종류가 있습니다. 최적의 온도는 18~25도 일 때 잘 자라며 겨울 온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15도에서 성장합니다. 추위에 강해 3~5도에서도 월동 가능합니다. 하지만 10도 이하로 떨어지면 잎이 줄어고 꽃을 보기 힘듭니다. 사계절 개화가 가능하고 겨울철에도 온도를 잘 맞춰 준다면 꽃을 볼 수 있습니다. 절단면이 흰색 유액이 나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눈이나 상처에 닿지 않게 조심해 주세요. 환기가 되지 않으면 응애 깍지벌레 총채벌레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햇빛과 물 주기 빛의 요구량이 많이 필요합니다. 6시간 이상 빛을 보고 빛을 많이 .. 2022. 11. 13.
크로톤 키우기 잎이 떨어지는 이유, 물 주기, 번식 방법 크로톤 키우기 크로톤 키우기 물 주기 방법과 생육 환경을 알아봅시다. 푸른 관엽식물 사이에서 화려한 잎을 자랑하는 크로톤입니다. 단풍 같은 화려한 색 때문에 가을에 더 예뻐 보이는 것 같습니다. 자바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하며 열대성 식물이라 유난히 추위를 많이 타는 식물입니다. 18~29도에서 잘 자라며 25도 정도의 따뜻한 곳, 높은 습도를 좋아합니다. 주변 습도가 낮고, 통풍이 지속적으로 원활하지 않다면 깍지 벌레가 생길 수 있어 주의합니다. 자주 분무를 해주어 습도를 높여 주세요. 15도까지 견디지만 18도 이상은 온도에서 키워야 좋은 모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추위에 노출될 경우 잎이 늘어지며 떨어질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에어컨 주변에 놓지 않도록 합니다. 햇빛과 물 주기 방법 햇빛이 잘 .. 2022. 11. 12.
녹보수 키우기 겨울철 관리 물 주기와 가지치기 녹보수(China doll)키우기 온도 관리 '녹색의 보석 같은 나무'라는 의미를 가진 녹보수 나무 키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내에 두면 돈이 들어온다는 의미로 인기가 많습니다.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잘 자라서 초보들도 키우기 쉬운 식물입니다. 18~24도를 선호하고, 아열대성 식물이라 추운 겨울철 관리를 신경 써야 합니다. 찬바람에 노출되면 잎을 떨구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18도 이상의 실내에서 관리해 주세요. 겨울철에는 공중 습도를 높여야 병해충 없이 건강하게 키울 수 있습니다. 건조하고 통풍이 부족하면 잎에 솜처럼 생긴 깍지벌레, 개각충, 진드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병해충을 예방하기 위해 2~3일에 한 번은 분무를 해준다면 도움이 됩니다. 해피 트리와 녹보수의 모양이 비슷하여 헷갈리기도 합.. 2022. 11. 12.
크리스마스 트리 아라우카리아 키우기 물 주기와 관리 방법 아라우카리아(norfolk island pine) 키우기 겨울철 실내 트리로 많이 본 아라우카리아입니다. 원산지는 호주이며 소나무과입니다. 삼나무와 잎이 닮아 호주 삼나무라고 부릅니다. 원산지에서는 50~70m까지 자라지만 실내에서는 1~3m 정도 자랍니다. 가지와 부드러운 바늘잎이 수평으로 자라 장식을 하여 크리스마스트리로 활용합니다. 새로나는 잎은 밝은 녹색이고 클수록 색이 점점 진해집니다. 물 주기만 잘 신경 쓴다면 키우기 쉬운 식물에 속합니다. 크면서 가지가 곧게 클 수 있도록 지지대를 해 주어 흔들리지 않게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5~9월까지 비료를 주고 키우고 성장이 빠른 편이라 많은 양은 주지 않도록 합니다.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새집증후군의 포름알데히드 제거 능력이 좋아 실내 공기.. 2022. 11. 8.
포인세티아 붉게 물들이기와 물 주기 번식 방법 화려한 붉은색 포엽이 아름다운 포인세티아는 멕시코가 원산지입니다. 포엽은 꽃을 싸고 있는 잎 구조를 말합니다. 최대 3~4m까지 자라며 쌍떡잎식물입니다.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개화를 하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에서 장식으로 널리 이용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12월에 많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크리스마스 식물 포인세티아 온도는 16~25도가 적당하며, 최저 온도는 10도 이하의 낮은 온도는 견디지 못합니다. 추운 겨울철에는 따뜻한 장소에서 키웁니다. 10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잎이 시들고 줄기가 노랗게 변하고 잎을 떨구게 됩니다. 차가운 창문에 닿지 않게 조심해 주세요. 햇빛을 좋아하는 식물입니다. 키우는 장소에서 햇빛이 가장 오래 드는 장소에서 키우기를 추천합니다. 다만 더운 여름의 직사광선은 피해 주세요... 2022. 11. 7.
호야 키우기와 물 주기 번식 호야 키우기 호야는 박주 가리과 호야 속 식물입니다. 원산지는 일본 남부,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열대 아열대 지역입니다. 100여 종이 분포합니다. 생육 온도는 21~25도에서 잘 자라며, 겨울에는 13도 이상에서 키워주세요. 10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성장이 멈추고 냉해를 입을 수 있어 조심합니다. 40~70%의 습도를 좋아합니다. 호야의 꽃말은 독한 사랑 독립 아름다운 사랑입니다. 덩굴성 식물이라 지지대를 사용해 위로 키워도 좋고, 아래로 늘어트리거나 리스 모양으로 감아 키워도 좋습니다. 대체로 행잉 식물로 많이 키우고 있습니다. 큰 관심을 주지 않아도 잘 크는 키우기 쉬운 식물에 속합니다. 습도와 온도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응애와 깍지벌레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전용 살충제를 뿌.. 2022. 11. 4.
반응형